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플레이션13

[해외주식] 고금리 시기에 SCHD의 주가가 오르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노아입니다. 오랜만에 금융에 관련된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이번 글의 주제는 고금리 시기에 왜 투자자들은 Equity(주식)보다 Debt(채권 등) 투자를 선호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고금리를 유지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입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대부분의 기업들은 인건비,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대응하기 위해 판매가격을 인상합니다. 한편, 고금리 환경 하에서 기업이 설비투자, 리파이낸싱 등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하거나 은행으로부터 신규 차입을 한다면 이들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비용은 증가합니다. (기존 금융부채를 고정금리가 아닌 변동금리로 조달했다면 신규 자금조달이 이뤄지지 않았더라도 이자비용은 증가하게 됩니다. 변동금리로.. 2024. 4. 20.
[경제뉴스 스크랩] Fed의 계속되는 긴축, AI가 불러온 증시 훈풍을 위협하나 안녕하세요 노아의 부자연구소입니다. 어느덧 2023년도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9월이네요. 일교차가 심해지고 있는데, 모두 감기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미국 연준이 얼마 전 있었던 FOMC 회의 내용이 공개되며 연준이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거나, 고금리 기조를 기존 예상보다 장기간 이어갈 것이라는 공포가 퍼지며 빅테크를 넘어 뉴욕 증시 전반이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한국 증시도 6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2,500선에 간신히 턱걸이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미국 연준이 매파적인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고함에 따라 올해 AI 열풍에 힘입어 랠리를 펼친 뉴욕 증시가 위협을 받고 있다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연준은 이번 달 FOMC에서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했지만,.. 2023. 9. 23.
[증시 리뷰] 워렌 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 보기 안녕하세요 노아의 부자연구소입니다. 애플을 제외한 기술주를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던 워렌 버핏이 최근 5조원이 넘는 규모의 TSMC 주식을 취득하며 시장을 놀라게 하고 있습니다. 시장은 연초 이후 계속해서 추세가 명확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면서 많은 투자자들을 괴롭게 만들고 있어요. 금융자산의 가격은 하락하고 물가는 상승하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투자의 대가인 워렌 버핏이 최근 보고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투자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행스럽게도 투자의 전설 워렌 버핏은 물가가 급등할 때 어떤 자산을 소유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조언을 남겼습니다. 1981년 주주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버핏은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에 맞서려고 할 때 살펴봐야 할 두 가지 비즈니스 특성을 강조했습니다. 1.. 2022. 11. 18.
[서평] '변화하는 세계질서' 리뷰(4장. 통화 가치의 변화) 4장. 통화 가치의 변화 1700년 이후 탄생한 약 750개의 통화 중에서 약 20퍼센트만이 현재까지 존재하는데, 남아있는 20퍼센트의 통화의 가치도 하락했다. 따라서 모든 통화는 평가절하되거나 가치가 사라진다고 할 수 있다. 화폐를 발행하는 목적은 채무자의 부채 부담을 줄이는 것이므로 부채 금액 대비 통화 가치를 떨어트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부채 부담이 줄어들어 돈과 신용이 생산성 향상으로 흘러 들어가 기업의 수익이 증가하면 기업의 주가는 상승한다. 부채 부담이 줄어들수록 사람들은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를 늘리고, 기업은 고용을 증가하거나 설비투자를 늘린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현금과 채권자산의 현재 수익률과 미래의 수익률을 감소시켜 사람들이 현금과 채권자산에서 탈출해 인플레이션을 헤지하는 자산이나.. 2022. 10. 30.
[경제뉴스 스크랩] 2022년 7월 1일 '단타' 2040대 남자 수익률 최악 TRANSLATE with x English Arabic Hebrew Polish Bulgarian Hindi Portuguese Catalan Hmong Daw Romanian Chinese Simplified Hungarian Russian Chinese Traditional Indonesian Slovak Czech Italian Slovenian Danish Japanese Spanish Dutch Klingon Swedish English Korean Thai Estonian Latvian Turkish Finnish Lithuanian Ukrainian French Malay Urdu German Maltese Vietnamese Greek Norwegian Welsh Haitian Creol.. 2022. 7. 5.
"가상통화의 겨울이 온다", 코인베이스 18% 감원 안녕하세요 노아의 부자연구소입니다. 6월 14일 발표된 미국의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동기 대비 10.8% 상승했다고 미국 노동부가 밝혔습니다.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던 3월(YoY 11.5%), 4월(YoY 10.9%)보다는 연간 상승률이 소폭 둔화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입니다. 외신들은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8.6%로 예상을 뛰어넘는 오름세를 기록한 데 이어 생산자물가지수 역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분석했어요. 이같은 생산자 가격의 상승은 조금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올 3분기까지는 계속해서 물가가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상황이 이렇자 경기침체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1. 암울한 경제전망 미국에서는 기업 CE.. 2022.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