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0

[실적리뷰] 로켓성장하는 쿠팡, 향후 주가는 어떻게? 안녕하세요, 아침 저녁으로 일교차가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 감기 걸리지 않도록 건강 잘 챙기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쿠팡의 실적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8/12일 새벽, 쿠팡이 2/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쿠팡은 지난 2분기 처음으로 분기 단위 매출이 5조원을 넘기며 YoY(전년 동기대비) 71%, 15분기 연속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신장률 50% 증가라는 인상적인 성적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 불거진 불매운동 등 동사에 부정적인 외부 여건 속에서도 질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같이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기록할 수 있던 배경으로는 쿠팡이츠와 로켓프레시 등 신사업 부문 이용자 수의 급격한 증가가 꼽힙니다. 동사의 음식배달 서비스인 '쿠팡이츠'의 매출이 YoY 300% 성.. 2021. 8. 16.
[리포트 요약] 환경오염 없는 고기, 비건도 고기를 먹는 시대가 온다 안녕하세요 주식덕후입니다. 오늘은 지구온난화, 동물보호 등의 사회문제와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대체육&배양육 시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친환경 육류(대체 단백질)는 크게 식물성 재료에 기반한 '대체육'과 동물성 세포를 배양해 만드는 '배양육'으로 나뉜다는 것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친환경 육류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뜨겁습니다. 2017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배양육 스타트업에 170억 달러(한화 약 18조 4천억)를 투자하며 관련 산업에 대중의 관심이 모아졌습니다. 미국의 최대 축산기업인 '타이슨 푸드'도 대체육 개발에 나섰습니다. 해당 기업의 목표는 2022년에 배양육으로 만든 요리가 소비자들의 식탁에 오르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도 푸드테크 스.. 2021. 8. 9.
[ETF] DIA, 월배당 주는 미국 ETF 안녕하세요 주식덕후입니다. 오늘은 월배당 주는 ETF로 유명한, 많은 분들이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시장평균 수익률을 추종하며 꾸준한 수익을 얻기 위해 투자하는 DIA ETF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정식 명칭: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ETF) 1. DIA ETF를 사 모으는 이유 저는 현재 포트폴리오에 해당 인덱스 펀드를 3주 편입하였고 매 달 1주씩 추가 매수하고 있습니다. 제가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분산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펀드매니저 수준의 전문적 지식이 부족하고 전업 투자자처럼 기업분석에 투자할 시간이 없기 때문에 저는 제 포트폴리오에서 꾸준한 성장이 가능할 우량주의 비중을 6할 이상 포함하겠다는 목표를 두고 투자 중에 있습니다. .. 2021. 8. 7.
[증시 리뷰] 7월의 시장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공부 안녕하세요 주식덕후입니다. 정말 오랜만의 포스팅이네요, 7월에도 글로벌 증시는 변동성이 심했는데요, 아마도 시장에 굵직한 일들이 많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 7월의 시황을 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커지는 차이나 리스크 시진핑의 3연임 여부와 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대비하며 당국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 주식시장이 아닌 미국에 상장한 중국의 차량공유업체인 ‘디디추싱’을 비롯하여 자국의 테크기업들에 대한 제제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텐센트, 알리바바, 디디추싱, 사교육 업체 등 수많은 기술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하는 추세입니다. 역대급 수준의 당국 규제에 겁먹은 투자자들이 중국에서 자본을 급히 처분했기 때문에 본토 시장에서 수 일만에 수 백조원의 자금이 사라졌고 이는 기관과 개인.. 2021. 8. 3.
[증시 리뷰] 2021년 상반기를 돌아보며 안녕하세요. 박군입니다;) 한 해의 절반이 지나가고 본격적인 여름을 맞이하며 하반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 올 상반기 재태크 수단 1위는 평균적으로 국내 주식이었다고 합니다. 1월에 3,000선을 돌파한 코스피 지수는 몇 달간의 횡보 이후 3,300선에 안착하며 10% 이상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다음으로 수익률이 높았던 자산은 달러로, 1월~6월 25일 기준으로 가치가 4.39% 올랐다고 합니다. 델타 변이의 확산 속도가 빨라지며 지난주 환율이 1145원에 이르렀기 때문에 7월 초를 기준으로 잡는다면 달러 가치가 5% 이상 상승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달러의 뒤를 이어 금이 3.5% 상승하며 상반기 재태크 수단 3위에 올랐습니다. 금의 가치 상승의 주요한 요인으로는 인플레이션에 .. 2021. 7. 12.
[배당일기] 6월 배당금 결산 안녕하세요. 어느새 2021년의 절반이 지나갔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여전히 우리의 일상을 방해하고 있지만 백신 접종에 속도가 붙으며 일상으로의 복귀가 점차 현실화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저는 팬데믹이 종료된다면 꼭 유럽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6월은 배당금이 많이 입금되는 달은 아닙니다. 제가 보유한 종목들 중 세 종목만이 6월에 배당금을 주기 때문입니다. 사실 아직 1년에 250달러가 겨우 넘는 배당을 받고 있지만 일하지 않고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고 즐겁습니다. 6월의 첫 배당금을 안겨준 종목은 마이크로소프트입니다. MS는 매년 3, 6, 9, 12월에 주주배당을 실시합니다. 이번 분기에는 주당 56센트의 배당금을 지급했다고 하네요, 저는 세후 6달러의 배당을 받게 되었습니다. 13주.. 2021. 6. 22.
[함께 공부하기] 구글의 전략 변화, 삼성에 이득일까? 기존의 테크 기업들을 구분하는 기준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였습니다. MS와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에 매진했고 삼성, 소니 등의 기업은 하드웨어를 제조하는데 집중했습니다. 구글-삼성처럼 스마트폰 시장에서 각자의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협업을 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하나의 기업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제조, 판매하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비용의 문제, 이용 가능한 인적 자원풀의 한계 등 여러 현실적인 문제 외에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함께 개발할 때의 시너지가 적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시장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데이터가 테크 기업들의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됨에 따라 기업들의 제품 관련 전략이 수정되고 있습니다. 잘 팔릴 제품(하드웨어)를 만.. 2021. 6. 21.
[함께 공부하기] ETF는 무엇일까? Passive ETF vs Active ETF... 패시브 ETF&액티브 ETF ETF(Exchaange Traded Fund)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손쉽게 사고팔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개별주식에 투자할 때의 높은 리스크와 펀드의 환매에 긴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을 개선한 상품인 것이죠. 시장에서 거래되는 대부분의 ETF는 기본적으로 패시브의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패시브 ETF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맞는 종목의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금, 원자재, 채권, 코스피, S&P500 등을 추종하는 ETF가 대표적입니다. 지수 수익률을 달성하도록 운영되기 때문에 변동성이 작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액티브 ETF는 지수 평균을 초과하는 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해 종목을 선정, 직접 운용하는 상품입니다. 높은 기대.. 2021. 6. 20.
반응형